PrimoCache 프로그램 다운, 설치 글 작성을 해 드렸습니다.
이제 설치된 프리모캐쉬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현재 쓰고있는 SSD의 읽기, 쓰기속도를 올려 보겠습니다.
설치된 PrimoCache프로그램을 실행 해 주세요.
PrimoCache 사용으로 SSD읽기, 쓰기속도 올리기.
PrimoCache를 실행한 화면 입니다. 상단 아이콘 중 +(New Cache task)아이콘을 클릭 하세요.
New Cache task창이 열리면 PC에 장착된 하드디스크 목록이 나오는데 운영체제가 설치된 SSD를 체크 하세요. "Next"클릭 하세요.
Choose Profile창이 열리는데 "Read & Write"를 선택하고 "Next"클릭 하세요.
위 화면이 나오는데 전 기본으로 잡고 들어오는 값을 사용했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메모리 용량은 16GB 입니다.)
몇일 사용해보니 메모리 사용량이 높아서인지 인터넷블라우저로 웹 페이지 접속시 딜레이가 생겨 4096으로 내려서 사용 중 입니다. (제가 사용하는 메모리 용량은 16GB 입니다.)
1. Level-1 Cache는 메모리를 이용해서 캐쉬를 사용합니다.
전 기본값을 그대로 적용했습니다.
2. 이것도 기본값으로..
3. 기본값으로 체크가 모두 해제 되어 있는데 그냥 두시면 됩니다.
Prefetch Last Cache 세부 설명 :
Start at Windows Boot - 체크를 해제하면 윈도우 부팅 후 지연시간을 두고 백업 데이터를 불러오지만, 이 옵션을 켜면 윈도우 부팅후 바로 데이터를 불러옵니다.
부팅 직후 캐쉬 적중률이 필요한 작업을 할 경우 유용하겠지만, 부팅 자체를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기본값은 해제 입니다.
Lock Cache Content - 체크를 하면 이전 부팅 백업에서 불러온 데이터는 무조건 계속 캐쉬에 상주하며, 캐쉬가 가득차도 교체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이전 부팅 때 캐쉬 적중률이 좋아 데이터를 유지시키고 싶을 때 쓰는 옵션입니다.
만일 사용중 위 설정값을 수정하고 싶다면 프리모캐쉬 실행화면에서 드라이브 아이콘을 더블클릭하시면 위 화면으로 접속이 됩니다. "Start"를 클릭해 주세요.
"확인"을 클릭 하시면 마무리 됩니다.
위 화면이 나오면 상단 옵션(가방)아이콘을 클릭 하세요.
윈도우 시작시, PrimoCache를 닫았을때 시스템트레이로 보내는 옵션입니다. 체크 해 주세요.
이렇게 PrimoCache를 설정하고 SSD속도 체크를 해 보았습니다. (CrystalDiskMark 벤치마크.)
PrimoCache 적용전, 적용 후 데이터 값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수치로만 보면 어마어마한 효과가 있습니다.^^
SSD에 캐쉬를 적용하니 이런 수치가 가능한듯 합니다. SSD야 자체가 빠르니 캐쉬적용을 안해도 불편함을 못 느끼고 사용하실겁니다.
제가 PrimoCache를 사용할려고 하는 이유는 일반 HDD에 PrimoCache를 적용해서 효과를 보고싶어서 사용할려고 합니다.
다음 글에는 SSD용량을 나눠서 캐쉬드라이브로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이대로 해서 빨라지긴 한거 같은데 잘은 모르겠지만요...ㅡㅡㅋ
숫자 놀음이라 해도 저는 2690으로 나오네요
적용 안했을때는 450정도 나오고요 14000이랑은 너무 차이나는데 제가 뭔 제대로 못한건가요?
거의 6배 정도 차이나는데 왜 전 저렇게 안나오는 걸가요?
캐쉬설정을 통한 성능향상은 실질적으로 효과가 큽니다.
간혹 숫자만 올라간거라고 하시는분도 계시는데 제가 직접 사용해본 결과로 보면 상당한 효과가 있습니다.
제가 이번에 PrimoCache v2.5.0을 구입했는데 컴퓨터는 i7-6700k에 에즈락 Z170 메모리는 16X16=32 SSD256삼성껄 씁니다...
윈도우 7을 설치해서 쓰는데 PrimoCache만 설치하면 블루스크린이 떠서 미치겠습니다.
혹시 문제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i7-6700k에 윈도우7 설치를 하기위해 패치를 적용했을텐데 혹시 그 부분이 충돌나는거 아닐까요..?
제가 i7-6700k에 윈도우10을 사용하는데 아무런 문제없이 이용하고 있거든요.
블루스크린이 뜬다면 아무래도 그 부분이 문제가 아닌가 싶네요.
내 윈도우7 재설치후 해결 했습니다.
컴에 설치된 프로그램이나 아니면 윈도우 자체 패치로 인한 충돌로 보이네요.
지금은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제 문제는 캐쉬로 잡아준 드라이브를 어떻게 해제 하는지 몰라서 삽질중에 있습니다..^^;;;
캐쉬 잡을 잡아준 하드 해제는 그냥 프리모캐쉬 프로그램에서 체크해제하시면 됩니다.
만약 SSD 분할 한것을 말씀하시는거라면 그 부분은 좀 복잡합니다.^^
SSD분할해서 L2Storage를 지정한 부분을 원상복구하는거라면 윈도우 재설치해야 합니다.
SSD분할해서 L2Storage를 지정한 부분을 원상복구하는거라면
윈도우 재설치 필요없이, 제어판-관리도구-컴퓨터관리 에 들어가셔서 L2캐쉬로 지정된 하드를 볼륨삭제후 포멧 - 볼륨을 다시 지정해주시면 됩니다. 저는 그렇게 해서 버전별로 설치후 테스트해보았네요 ㅎ
질문 있습니다. ssd를 이용한 캐쉬 할당에도 한 질문과 비슷합니다.
하지만, ssd는 비휘발성이고, 이건 휘발성인 ram을 이용한 램캐쉬라서 별도로 질문합니다. 이점 유념해서
답변 부탁합니다.
1. 본문에서는 4기가 잡으셨는데 이 용량이 크면 클수록 더 속도가 빨라지나요? 램캐쉬를 20기가 이상 잡을시
용량 작은 몇기가 말고 20기가, 30기가 이상..심지어 50기가 파일 복사, 이동시 체감이 있을까요?
2. 위 질문에 이어지는 질문.. 파일 30~50기가가 여러개냐 단일이냐에 따라 복사, 이동속도 차이 있을까요?
3. 위 프리모 램캐쉬 작동방식에 대한 질문입니다.
4기가 설정을 운영체제 c:에 거셨는데요, 캡쳐화면 보니까 최대 16개 매체에 동시에 걸 수 있다고 합니다. 아무튼,
사용중인 모든 드라이브에 램캐쉬 4기가를 걸었다 합시다. 그러면 모든 ssd, hdd 볼륨에서 동시에 읽고 쓰고할때 캐쉬4기가를 공유해서 사용하나요? 이런방식이면 램캐쉬 할당 용량설정이 다다익선인거네요? 왜냐하면 각 드라이브에서 프로그램에따라 개별적인 다른 데이터를 이용시 그만큼 램캐쉬 이용량도 증가하니까요.
그리고, 이렇게 여러개 hdd,, ssd에 램캐쉬 할당 다 걸어 놓고 쓰면 데이터 혼선이라든지 문제 발생은 없나요?